연차일수 계산기

🗓️ 연차일수 계산기

근로기준법 제60조 기준 정확한 연차 계산

📝 근무 정보 입력

연차 계산의 기준이 되는 날짜
입력 안 하면 오늘 날짜 기준
80% 이상 시 연차 발생
선택사항

⚡ 빠른 결과

📚 계산 기준 안내

🔰 1년 미만

월 1회 개근 시 1일 발생
(최대 11일)

⭐ 1년 이상

출근율 80% 이상 시
연 15일 기본 발생

📈 장기 근속

3년 이상 2년마다 1일 추가
(최대 25일)

💰 연차수당

월급 ÷ 209시간 × 8시간
= 1일 수당

연차일수 계산기 소개

연차일수 계산기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의 근무 기간과 출근율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연차휴가 일수를 정확하게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

연차휴가 계산 기준

  • 1년 미만 근로자: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하며, 최대 11일까지 발생합니다.
  • 1년 이상 근로자: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경우 15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하고, 2년마다 1일씩 추가되어 최대 25일까지 부여됩니다.

사용 방법

  1. 입사일을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2. 퇴사일이 있다면 입력하고, 없으면 오늘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3. 출근율(%)을 입력합니다. 기본값은 100%입니다.
  4.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연차일수가 계산됩니다.

결과 해석

계산 결과에서는 총 근무기간, 1년 미만 발생 연차, 1년 이상 발생 연차, 이번 연도 발생 연차일수, 그리고 입사일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모든 연차일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본 계산기는 근로기준법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회사 내규나 단체협약에 따라 실제 부여되는 연차는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인사담당자에게 문의하세요.

Roberin
센스 있는 개발자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툴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센스 있는 개발자, Roberin입니다. 기술은 모두를 위한 것, 함께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어 가요! 😊
연락하기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거나 인사를 나누고 싶으시나요? 아래 양식을 작성해 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