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 생성 계산기 Pro
기본 정보 입력
%
시간
현재 상태
현재 시간 (한국)
–
오늘 날짜
–
적용 기준
입사일 기준
연차 주기
법정 기준
윤년 체크
–
근무 기간
–
현재 연차
– 일
다음 연차 생성일
–
예상 연말 연차
– 일
누적 발생일수
– 일
연차 발생 달력
–
입사일
과거 연차 발생
미래 연차 발생
오늘
기준일
연차 발생 일정
2024
올해 총 발생
0일
다음 발생까지
–
미사용 연차수당 계산기
원
일
미사용 연차수당
0 원
퇴사시 연차 정산
기준별 연차 비교 분석
기준
현재 연차
연말 예상
다음 발생일
연간 발생량
특징
연도별 연차 발생 예상 그래프
연차 발생 기준 및 주의사항
📋 연차 발생 조건
- 5인 이상 사업장에서 근무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80% 이상 출근률 유지
- 각 기준에 따른 개별 산정
🗓️ 연차 생성 시점
- 입사일 기준: 매월 개근 시 1일씩 발생 (최대 11일) + 1년차 15일
- 회계연도 기준: 1월 1일 기준으로 해당 연도 연차 산정
- 사용자 정의: 설정한 주기에 따라 연차 발생
※ 이 계산기는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른 기본 연차 기준을 적용합니다
※ 윤년은 JavaScript Date 객체로 자동 처리되며, 2월 29일도 정확히 계산됩니다
※ 사용자 정의 설정은 법정 기준 이상으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 실제 연차 적용은 회사별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연차 현황은 인사담당자에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윤년은 JavaScript Date 객체로 자동 처리되며, 2월 29일도 정확히 계산됩니다
※ 사용자 정의 설정은 법정 기준 이상으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 실제 연차 적용은 회사별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연차 현황은 인사담당자에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의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차 발생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웹 도구입니다. 입사일 기준, 회계연도 기준, 사용자 정의 주기를 모두 지원하며, 계약직과 정규직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연차 계산 방식
입사일 기준 (법정 기본)
- 1년 미만: 매월 개근 시 1일씩 발생 (최대 11일)
- 1년 이상: 입사일 + 1년 + 1일 시점에서 15일 발생
- 3년 이상: 2년마다 1일씩 추가 (최대 25일)
회계연도 기준
- 1월 1일 기준으로 연차 산정
- 모든 직원 동일 기준 적용
- 관리 편의성 높음
사용자 정의
- 일/주/월 단위 자유 설정
- 회사 정책에 맞춤 조정 가능
계산 및 분석 도구
현재 상태
- 보유 연차 일수
- 다음 연차 발생일
- 연말 예상 연차
- 누적 발생 연차
달력 표시
- 입사일, 연차 발생일 시각화
- 과거/미래 일정 구분 표시
- 윤년 자동 처리
비교 분석
- 3가지 기준 동시 비교
- 향후 5년 예측 그래프
- 기준별 특징 설명
실용 계산기
- 미사용 연차수당 계산
- 퇴사 정산 계산
- 데이터 저장/불러오기
사용법
기본 설정
- 입사일 입력
- 연차 생성 기준 선택
- 출근률, 근무시간, 사업장 규모 입력
- 계산 버튼 클릭
빠른 설정
- 표준: 법정 기본 기준
- 회계연도: 1월 1일 기준
- 주간/월간: 사용자 정의 샘플
추가 기능
- 달력: 과거/미래 연차 발생일 확인
- 연차수당: 일평균임금 × 미사용연차
- 퇴사정산: 퇴사일 기준 보유 연차
연차 발생 조건
- 5인 이상 사업장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80% 이상 출근률 유지
- 입사일 기준 개별 산정
2021년 법 개정 반영
기존에는 1년 근무 후 즉시 15일 연차가 발생했지만, 현재는 1년 + 1일 시점에 근로관계가 유지되어야 15일 연차가 발생합니다. 정확히 1년 만에 퇴사하면 15일 연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윤년 처리
JavaScript Date 객체를 사용하여 윤년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2월 29일이 포함된 연도의 날짜 계산도 정확하게 수행됩니다.
윤년 규칙
- 4로 나누어떨어지면 윤년
-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면 평년
- 400으로 나누어떨어지면 윤년
활용 대상
근로자
- 개인 연차 현황 파악
- 연차 사용 계획 수립
- 퇴사 정산 금액 확인
인사담당자
- 직원별 연차 관리
- 연차 정책 검토
- 인건비 예산 참고
노무 전문가
- 고객 상담 도구
- 법정 기준 확인
-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
주의사항
이 계산기는 근로기준법 기본 기준을 적용합니다. 실제 연차는 다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회사별 취업규칙
- 단체협약
- 개별 근로계약
- 업종별 특성
사용자 정의 설정 시 법정 기준보다 불리하게 설정하면 안 되며, 취업규칙에 명시하고 근로자에게 사전 고지해야 합니다.
정확한 연차 현황은 인사담당자나 노무사에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